절의 기본 동작
공수법
절을 하기에 앞서 어른 앞에 두 손을 모아 잡는 공수법도
상대와 상황에 따라 각각 다르다.
어른을 모시거나 의식행사에 참석하면 공손한 자세를
취해야 하는데, 이때 두 손을 공손하게 앞으로 모아 잡는
것을 공수라고 한다.
1. 남자의 평상시 공수는 왼손이 위로 가게 두 손을 포개
잡는다.
2. 남자의 흉사 시 공수는 오른손이 위로 가게 두 손을
포개 잡는다.
3. 여자의 평상시 공수는 오른손이 위로 가게 두 손을
포개 잡는다.
4. 여자의 흉사 시 공수는 왼손이 위로 가게 두 손을
포개 잡는다.
5. 공수할 때 손의 모습은 위의 손으로 아래 손의 등을
덮어서 포개 잡는데, 두 엄지손가락은 깍지 끼듯 교차
시킨다.
그 이유는 넓고 긴 예복의 소매가 흘러내려 맨살이
드러나지 않도록 맞은편의 소매끝 을 누르고, 큰 의식
때 쥐는 홀을 쥐기 위해서다.
6. 소매가 넓은 예복을 입었을 때는 공수한 팔이 수평이
되게 올린다.
7. 소매가 좁은 평상복을 입을 때는 공수한 손이 배꼽에
닿도록 자연스럽게 내린다.
8. 공수하고 앉을 때 손의 위치는 남자는 두 다리의
중앙에 얹고, 여자는 오른쪽 다리 위에 얹으며, 남녀 모두
한쪽 무릎을 세우고 앉을 때는 세운 무릎 위에 얹는다.
읍례법
읍례는 장소 등의 사정으로 대상에게 절을 하기가 마땅치
않을 때 간단하게 공경을 표하는 동작이다.
엄밀한 의미에서 읍례는 예의의 표현일 뿐 절은 아니므로
밖에서 어른을 뵙고 읍례를 드렸다 하더라도 절을 할 수
있는 장소에 오게 되면 절을 해야 한다.
읍례의 기본 동작은 다음과 같다.
1. 공수하고 상대방을 향해 두 발을 편하게 벌리고 서서
고개를 숙여 자기의 발끝을 본다.
2. 공수한 손이 무릎 아래에 이르도록 허리를 굽힌다.
3. 허리를 세우며 공수한 손을 밖으로 원을 그리면서
팔뚝이 수평이 되게 올린다.
4. 팔꿈치를 구부려 공수한 손을 눈높이로 올린다.(상읍례)
5. 공수한 손을 원위치로 내린다.
절의 종류
큰절
남자는 계수배, 여자는 숙배라 한다.
자기가 절을 해도 답배를 하지 않아도 되는 높은
어른에게나 의식행사에서 한다.
직계존속, 배우자의 직계존속, 8촌 내의 연장존속,
의식행사
평절
남자는 돈수배, 여자는 평배라 한다.
절을 하면 답배 또는 평절로 맞절을 해야 하는
웃어른이나 같은 또래 사이에 한다.
선생님, 연장자, 상급자, 배우자, 형님, 누님, 같은
또래, 친족이 아닌 15년 이내의 연하자
반절
남자는 공수배, 여자는 반배다.
웃어른이 아랫사람의 절에 답배할 때 하는 절이다.
제자, 친구의 자녀나 자녀의 친구, 남녀 동생, 8촌 이내의
10년 이내 연장비속, 친족이 아닌 16년 이상 연하자
절하는 횟수
남자는 양이기 때문에 최소 양수인 한 번, 여자는 음이기
때문에 최소 음수인 두 번을 한다.
생사의 구별
산 사람에게는 기본 횟수만 하고, 죽은 사람에게는 기본
횟수의 배를 한다.
절하는 시기
할 수 있는 장소에서 절할 대상을 만나면 지체 없이
절한다.
“앉으세요”, “절 받으세요”라고 말하는 것은 어른에게
명령하는 것이라 실례이다.
맞절의 요령
정중하게 맞절을 할 때는 아랫사람이 하석에서 먼저
시작해 늦게 일어나고, 웃어른이 상석에서 늦게
시작해 먼저 일어난다.
답배의 요령
웃어른이 아랫사람의 절에 답배할 때는 아랫사람이
절을 시작해 무릎을 꿇는 것을 보고 시작해서 아랫
사람이 일어나기 전에 끝낸다.
제자나 친구의 자녀 또는 자녀의 친구 및 16년 이하의
연하자라도 아랫사람이 성년이면 답배를 한다.
2020/04/08 - [생활] - 생활 예절, 남자의 절, 여자의 절
출처 : <하루 108배 내몸을 살리는 기적의 10분의 기적> - 김재성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 활동의 일환으로, 소정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연산의 효능 및 활용하기 (0) | 2020.04.17 |
---|---|
베이킹소다의 세정능력, 효능, 활용하기 (0) | 2020.04.17 |
생활 예절, 남자의 절, 여자의 절 (0) | 2020.04.08 |
각종 살림 지혜(청소) (0) | 2019.12.20 |
복을 부르는 숨은 비법(방법) (0) | 2019.1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