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상차림
밥과 반찬을 주로 하여 격식을 갖추어 차리는
상차림으로 밥상, 진지상, 수라상으로 구별하여
쓰는데, 받는 사람의 신분에 따라 명칭이 달라진다.
즉 아랫사람에게는 밥상, 어른에게는 진지상,
임금에게는 수라상이라 불렀다.
또 한 사람이 먹도록 차린 반상을 외상(독상),
두 사람이 먹도록 차린 반상을 겸상이라 한다.
그리고 외상으로 차려진 반상에는 3첩, 5첩, 7첩, 9첩,
12첩이 있는데, 첩이란 밥, 국, 김치, 조치, 종지(간장,
고추장, 초고추장 등)를 제외한 쟁첩에 담는 반찬의
수를 말한다.
3첩 반상은 서민들의 상차림이었고, 5첩 반상은
어느 정도 여유가 있었던 서민층의 상차림이었다.
7첩 반상은 여염집에서 신랑, 색시상을 차릴 때,
9첩 반상은 반가집에서의 최고 반상이었고, 12첩
반상은 궁중에서 차리는 수라상 차림이었는데,
수라상은 12첩 이상이라도 상관이 없었다.
첩수에 따른 반찬의 종류는 반상차림의 구성표에서
볼 수 있으며, 반찬의 구성은 재료와 색, 영양이
중복되지 않도록 고려해서 정하였다.
죽상차림
새벽에 자리에서 일어나 부담없이 가볍게 먹을 수
있도록 차린 상이다.
죽, 미음, 응이 등의 유동식을 중심으로 하고 여기에
맵지 않은 국물김치(동치미, 나박김치)와 젓국찌개,
마른 찬(북어 보푸라기, 육포, 어포) 등을 갖추어 낸다.
죽은 그릇에 담아 중아에 놓고 오른쪽에는 공기를
놓아 조금씩 덜어 먹게 한다.
죽상에는 짜고 매운 찬은 어울리지 않는다.
장국상(면상) 차림
국수를 주식으로 하여 차리는 상을 면상이라 하며
점심으로 많이 이용한다.
주식으로는 온면, 냉면, 떡국, 만둣국 등이 오르며,
부식으로는 찜, 겨자채, 잡채, 편육, 전, 생채, 배추김치,
나박김치 등이 오른다.
주식이 면류이기 때문에 각종 떡류나 한과, 생과일
등을 곁들이기도 하며, 이때에는 식혜, 수정과, 화채
중의 한 가지를 놓는다.
술 손님인 경우에는 주안상을 먼저 낸 후 면상을
내도록 한다.
주안상 차림
이름 그대로 주류를 접대하기 위하여 차리는 상이다.
안주는 술의 종류, 손님의 기호를 고려해서 마련해야
하는데 보통 약주를 내는 주안상에는 육포, 어포,
건어, 어란 등의 마른안주와 전이나 편육, 찜, 신선로,
전골, 찌개 같은 얼큰한 안주 1∼2가지, 그리고
생채류와 김치, 과일 등이 오르며 떡과 한과류가
오르기도 한다.
또 주안상에는 전, 편육류, 생채류와 김치류 그 외에
몇 가지 마른안주가 오른다.
기호에 따라 얼큰한 고추장찌개나 매운탕, 전골,
신선로 등과 같이 더운 국물이 있는 음식을
추가하면 좋다.
교자상 차림
명절이나 잔치 또는 회식 때, 많은 사람이 함께
모여 식사를 할 경우 차리는 상이다.
대개 고급 재료를 사용해서 여러 가지 음식을 만들어
대접하려고 하는데, 종류를 지나치게 많이 하는
것보다는 몇 가지 중심이 되는 요리를 특별히 잘
만들고, 이와 색채나 재료, 조리법, 영양 등이 조화를
이루는 몇 가지 다른 요리를 만들어 곁들이는 것이
좋은 방법이다.
조선시대의 교자상 차림은 건교자, 식교자, 얼교자
등으로 나뉜다.
다과상 차림
다과상은 평상시 식사 이외의 시간에 다과만을
대접하는 경우와 주안상, 교자상, 장국상의 후식
으로 내는 경우가 있다.
음식의 종류나 가짓수에는 차이가 있으나 떡류,
한과류, 생과류와 음료로는 차가운 음청류와 더운
차를 마련한다.
특히 계절에 잘 어울리는 떡, 생과, 음청류를 잘
선택하여 정성껏 마련하여 계절감을 살리도록 한다.
다과상만을 대접할 때는 떡과 한과류를 많이 준비
하고, 후식상인 경우는 여러 품목 중에 각각 1∼2가지
씩만을 마련하도록 한다.
백일상 차림
아기가 태어나서 백일이 되면 축하하는 상으로,
백일떡은 백 사람과 나누어 먹으면 백수를 한다하여
이웃과 친척에게 나누어 돌린다.
그릇을 돌려 줄 때는 씻지 않고 그대로 실이나 돈을
담아 답례로 보낸다.
차리는 음식은 흰밥, 미역국, 백설기, 수수경단,
오색송편, 인절미 등을 마련하는데, 이 중에 백설기는
백설같이 순수 무구한 순결을 의미하며, 수수경단은
잡귀를 막아 부정한 것을 예방하는 뜻이 담겨 있어
빠지지 않고 상에 오른다.
돌상 차림
아기가 태어난지 만 1년이 되면 첫 생일을 축하하는
돌상을 차려준다.
차리는 음식과 물건은 모두 아기의 수명 장수와
다재 다복을 바라는 마음으로 준비한다.
돌잡이 할 때는 아기를 무명필 위에 앉히고 아기가
무엇이든 먼저 집는 것에 따라 장래를 예상해 보며
재주를 가지고 복을 많이 받기를 기원한다.
돌상에 놓는 물건으로 쌀은 식복이 많음을, 면은
장수를, 대추는 자손의 번영을, 흰타래실은 면과
같이 장수를, 청홍색 타래실은 장수와 함께 앞으로
금실이 좋기를, 붓, 먹, 벼루, 책은 앞으로의 문운을,
활은 무운을 기원하는 뜻이며, 돈은 부귀와 영화를
기원하는 뜻이다.
출처 : <한국조리> - 손정우 외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 활동의 일환으로, 소정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요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라이팬에 삼겹살 맛있게 굽는 법 (0) | 2020.09.22 |
---|---|
조미료의 종류 및 사용법 - 감칠맛의 주범 (0) | 2020.09.21 |
한국음식(한식)의 양념과 조미료 (0) | 2020.09.19 |
식재료(육류, 야채, 어패류) 보관법 (0) | 2020.09.19 |
식재료(채소, 육류, 어패류) 신선도 감별 및 고르는 법 (0) | 2020.09.19 |